정보처리기사 7

SQL 조작어 (DML)- INSERT (삽입문)

• INSERT문은 기존 테이블에 새로운 자료(튜플)를 삽입하는 경우 사용하는 명령문이다. • 구문 INSERT INTO 테이블_이름[(속성_이름...)] VALUES (속성값...); 학생 테이블 학번 성명 학년 수강과목 점수 연락처 011111 김예진 1 경영학과 85 2341-4567 022010 김상현 2 산업공학과 80 111-1234 033223 김태희 1 데이터베이스 88 2452-2151 044020 유병승 3 운영체제 92 055533 양호준 2 행정학과 90 2432-4461 066017 이우식 4 행정학과 75 6255-7588 예) [학생] 테이블에 학번 077777, 성명 '제임스', 학년 3, 수강과목 '정보보안', 연락처 '777-7777'인 학생을 삽입하시오. INSERT I..

정보처리기사 2021.07.20

SQL 조작어(DML) - SELECT (부분 매치 질의문)

⑦ 부분 매치 질의문 • 부분 매치 질의문은 조건문 작성 시 문자형 자료의 일부를 가지고 비교하여 검색하는 질의문을 말한다. • 부분 매치 질의문에서 '%'는 여러 문자를 대신하고, '_'는 하자리를 대신한다. • '%'나'_'를 이용하여 조건문을 작성할 때는 '=' 대신 'LIKE'를 이용한다. 학생테이블 학번 성명 학년 수강과목 점수 연락처 011111 김예진 1 경영학과 85 2341-4567 022010 김상현 2 산업공학과 80 111-1234 033223 김태희 1 데이터베이스 88 2452-2151 044020 유병승 3 운영체제 92 055533 양호준 2 행정학과 90 2432-4461 066017 이우식 4 행정학과 75 6255-7588 예) [학생] 테이블에서 연락처의 번호가 '75..

정보처리기사 2021.07.20

SQL 조작어(DML) - SELECT (하위 질의문)

부속(하위) 질의문 • 부속 질의문은 질의문 안에 또 하나의 질의문을 가지고 있는 형태로,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 여러 테이블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 사용된다. • 처음에 나오는 질의문을 메인 질의문이리고 하고, 두번째 나오는 질의문을 부속(하위) 질의문이라고 한다. • 메인 질의문과 부속 질의문의 연결은 =, IN 등으로 연결된다. 학생정보 학번 이름 학과 학년 연락처 090111 김감찬 컴퓨터 1 234-4567 081010 이철수 기계 2 432-1234 090223 김정애 컴퓨터 1 245-2151 072020 이길동 수학 3 246-1177 081533 이영진 법학 2 242-4461 061017 이순신 체육 4 625-7588 학과 인원 학과 학생수 컴퓨터 35 기계 25 수학 30 법학 20 ..

정보처리기사 2021.07.20

SQL 조작어(DML) - SELECT (검색된 결과 정렬)

검색된 결과를 원하는 기준에 따라 정렬시키고자 할 때, 'ORDER BY'절을 이용한다. 학생테이블 학번 성명 학년 수강과목 점수 연락처 011111 김예진 1 경영학과 85 2341-4567 022010 김상현 2 산업공학과 80 111-1234 033223 김태희 1 데이터베이스 88 2452-2151 044020 유병승 3 운영체제 92 055533 양호준 2 행정학과 90 2432-4461 066017 이우식 4 행정학과 75 6255-7588 예) [학생]테이블에서 점수가 85점 이상인 학생을 학번의 오름차순으로 성명을 검색하시오. SELECT 성명 FROM 학생 WHERE 점수 >=85 ORDER BY 학번 ASC; -정렬을 수행할 때 ORDER BY 절을 사용하며, 오름차순은 ASC, 내림 ..

정보처리기사 2021.07.20

SQL 정의어 (DDL) - DROP

• DROP 명령문은 기존에 사용되던 테이블, 스키마, 도메인, 인덱스, 뷰, 제약조건 등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삭제 시 테이블 전체가 제거 된다. • 구문 DROP TABLE 테이블_이름 [CASCADE|RESTRICT]; DROP SCHEMA 스키마_이름[CASCADE|RESTRICT]; DROP DOMAIN 도메인_이름[CASCADE|RESTRICT]; DROP VIEW 뷰_이름 [CASCADE|RESTRICT]; DROP INDEX 인덱스_이름; DROP CONSTRAINT 제약조건_이름; 예) 아래[학적] 테이블을 제거하시오 학적 학번 성명 연락처 전공 학년 033312 홍길동 010-0000-0000 영문 4 001234 박정미 011-111-1111 독어 3 DROP TABLE 학적..

정보처리기사 2021.07.17

트랜잭션( Transaction)

트랜잭션 -데이터 베이스에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한 논리적 작업단위를 뜻한다. 트랜잭션의 성질 (4가지 ACID) A. 원자성(Atomicity) -트랜잭션의 연산은 모두 수행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모두 수행되지 않아야 한다. C. 일관성(Consistency) - 트랜잭션 처리가 완료된 후 일관된 데이터베이스 상태가 유지 되어야 하며, 결과에 모순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. I. 격리성(Isolation) - 하나의 트랜잭션이 수행 될 때,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 할 수 없다. (각각의 트랜잭션은 독립적이여한다.) D. 영속성(Durability) - 트랜잭션이 완료된 후, 그 결과가 유지되어야 한다.

정보처리기사 2021.07.13

OSI (Open Systems Interconnection) 7계층

계층 계층명 설명 주요장비 1 물리계층(Physical Layer) ­-­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등 기계적, 전기적, 기능적, 절차적 특성을 정의한다. 리피터 2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 - 두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는 효율성 있는 정보를 전송 할수 있도록 한다. - 내부 네트워크상에서 흐름, 에러 제어 기능을 한다. - 링크의 확립, 유지, 단절의 수단을 제공한다. 스위치 3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 - 개방 시스템들간의 네트워크를 연결, 관리 한다. -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, 유지 해제한다. 라우터 4 전송계층 (Transport Layer) - 종단 시스템간의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- 전송 연..

정보처리기사 2021.07.12